전신마취가 아이들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결과
짧은 전신마취가 아이들의 지능이나 행동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병원 연구팀은 생후 2세 미만 단회 수술 환자 400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임상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전신마취의 안전성을 입증하며 부모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짧은 전신마취와 지능 발달
이번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사실은 짧은 전신마취가 아이들의 지능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서울대병원 연구팀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생후 2세 미만의 수술 환자 400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임상을 진행했다. 이 연구는 아이들이 전신마취를 받은 후 지능 지수를 평가하기 위한 시점인 만 28~30개월에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아이들은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첫 번째 그룹은 흡입마취제인 세보플루란만 사용한 ‘단독군’으로, 두 번째 그룹은 세보플루란과 보조 약제인 덱스메데토미딘, 레미펜타닐을 함께 투여한 ‘병용군’으로 나뉘었다. 최종적으로 343명의 환자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병용군의 평균 흡입마취제 농도는 1.8%로 단독군보다 약 30% 낮았다. 이 연구의 결과, 두 그룹 간의 지능지수와 행동·정서발달, 언어능력이 유사하게 나타났다는 점은 의학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결과로 평가된다. 특히 짧은 전신마취가 아이들의 인지적 발달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사실은 부모들에게 안심과 신뢰를 줄 수 있는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전신마취의 행동 발달 영향
짧은 전신마취 후 행동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없다는 연구 결과는 특히 눈여겨볼 부분이다. 연구팀은 단회 수술을 경험한 아이들이 나타내는 행동과 정서적 발달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보호자 보고식 행동·정서 발달 평가(CBCL)를 실시하였다. 이 평가 또한 매우 중요한 지표로 작용했다.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 두 그룹 모두에서 유사한 행동 및 정서 발달 양상을 보였다. 상반된 결과를 얻기 위한 주요 요소는 환아들이 경험한 마취 유형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즉, 전신마취의 유형이 아이들의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짧은 전신마취 하에서도 아동은 정상적인 행동 발달을 지속할 수 있음을 보여준 만큼, 부모들은 아이들의 수술에 대해 과도한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전신마취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신마취와 정서 발달
아이들의 정서 발달 역시 전신마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은 이번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연구팀은 수술 후 아이들의 정서적 안정성을 평가하는 도구로 CBCL을 활용하였으며, 이 평가를 통해 아이들의 정서적 조절 능력을 점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짧은 전신마취를 경험한 아이들은 정서적 발달이 충분히 이루어졌으며, 이는 상당히 긍정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흡입마취의 농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두 그룹 간 정서 발달에 차이가 없다는 사실은 과학적 신뢰성을 높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히 가족들이 아이의 수술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주고, 의료진도 보다 확신을 가지고 마취를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무엇보다도 아이들의 전반적인 발달 상태가 유지된다는 것은 극복해야 할 큰 장애물이 사라졌음을 나타내는 중요한 결과인 셈이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는 짧은 전신마취가 아이들의 지능과 행동, 정서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밝혔다. 이는 수술을 예정하고 있는 부모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전신마취의 안전성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와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겠지만, 이번 연구는 어린이 환자의 마취 관리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
댓글 쓰기